Show Your True Color

나만의 도전을 할 수 있는 그날까지!

도전 1. 서비스기획/플랫폼 이해하기

[서비스기획 취준_플랫폼 이해하기] 2-1. 플랫폼 기획_회원가입 파헤치기

유캔유캔 2023. 6. 20. 08:00

플랫폼은 3가지의 필수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가장 기초되는 기획은 바로 회원가입입니다. 그 이유는 플랫폼의 핵심 수익원은 결제 혹은 중개로 인한 수수료이며, 이를 위해 플랫폼 내의 트랜잭션을 위한 기능이 구축되어야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온라인 플랫폼 사업은 정보서비스업 /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 매개 서비스업으로 분류됩니다. 물론 비회원으로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지만 서비스 이용자의 특정 전환율을 높이고 원하는 목표까지 고객 행동 및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위해서 회원가입은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플랫폼의 필수요소

1. 교차 네트워크 구축(생태계)

플랫폼은 개인과 개인 혹은 개인과 기업 등 다양한 이해관계를 연결해줍니다. 이는 교차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되며 한 개인이 어떠한 행동을 했을 때, 다른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러한 교차 네트워크는 "나"라는 사람이 자신의 효용을 위해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했을 때, 다른 타인 또한 이에 준하는 효용이 발생해야 합니다. 한 가지 예시를 들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배달의 민족은 서비스 이용자(유저)가 매장에 방문하지 않고 원하는 음식을 배달시켜 먹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는 서비스 이용자에게 다양한 선택과 편리함이라는 효용을 제공합니다. 반대로 서비스 제공자(매장)는 홀, 포장 주문밖에 받지 못해 특정 시간대에는 매출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배달의 민족에 서비스를 제공하면 보다 많은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교차 네트워크는 하나의 생태계를 구축하게 되며 플랫폼을 이용하는 모든 이해관계자가 가치를 제공받을 수 있는 구조가 필수적입니다.

 

 

2. 교차보조 도구(실질적 효용가치)

교차보조 도구는 플랫폼을 이용함으로써 이용하기 전에 제공받거나 생성되지 않았던 것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배달의 민족의 경우 서비스 이용자(유저)는 원하는 식당에 방문하지 않고 배달해 음식을 먹을 수 있다는 효용가치를 제공받습니다. 반면, 서비스 제공자(매장)는 고객과의 접근성이 좋아지고 배달기사를 고용하지 않더라도 서비스 이용자(유저)에게 음식을 배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원받습니다. 즉, 배달의 민족의 교차보조 도구는 "배달"이라는 서비스입니다.

 

 

3. 수익 전략

플랫폼의 수익원은 다양합니다. 일부 서비스의 경우 서비스 제공자에게 일방적으로 수수료를 수급하기도 하며, 이를 통해 서비스를 유지합니다. 반면 에어비앤비의 경우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수수료를 제공받기도 합니다. 이러한 수익 전략은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양면을 통해 이용료를 책정해 수익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보다 많은 수익을 발생시키기 위해선 플랫폼 내의 트랜잭션이 증가해야 합니다. 이를 관리하고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회원가입입니다.

 

 

플랫폼_회원가입의 필요성

비회원가입과 회원가입

대부분의 플랫폼 서비스에서는 회원가입과 로그인이 필수적이지만 그렇지 않은 서비스 또한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오늘의집"입니다. 오늘의집은 비회원 유저도 상품을 구경할 수 있으며, 원하는 상품이 있을 경우 비회원 구매를 통해 상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럴 경우 프로모션, 스크랩, 개인 맞춤 추천 서비스 등 혜택과 기능을 이용하지 못합니다. 즉, 상품 탐색과 구매라는 최소 가치만을 제공받게 됩니다.

 

 

저 또한,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면서 회원가입에 대한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회원가입은 고객의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마케팅 혹은 프로모션 등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객에게 서비스를 이용하는 허들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초기 MVP 기획에서는 회원가입을 제외하고 고객의 고유한 일련번호를 파악하기 위해 기기 고유번호 식별자를 이용하기로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이는 MAC Address와 IMEI 그리고 Apple UDID, 안드로이드 ID 등의 식별자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식별자도 특정 세팅, 리셋 시 식별자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많은 서비스는 고유한 식별자인 ID와 Password를 통해 고객을 식별하고 나아가 추가적인 효용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회원가입을 유도합니다. 

 

비로그인 시 고객 식별을 위한 식별자

MAC Address : 네트워크 어탭터(LAN)에 부여된 고유 식별자(임의로 리셋 불가)

IMEI(국제단말기식별번호) : 휴대폰 출고 시 기기에 부여되는 국제 모바일기기 식별 코드(WiFi 전용 기기에서 식별 불가)

Apple UDID : 애플에서 제조한 기기의 단말기 고유식별번호

Android ID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가 최초 Boot(실행) 될 때 생성되는 값

 

 

회원가입 정의 및 기획 방향성

회원가입이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기업"과 계약을 체결하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절차를 의미합니다. 회원가입의 정의는 서비스 이용약관을 통해 이용자에게 정보 전달합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표준약관을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서비스 기획을 위해서는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른 규정을 지켜야 하며, 서비스 설계와 정책 및 방안 기획 시 기획이 완료되어야 합니다.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예방하기 위한 것을 Privacy By Design(PbD)라 칭하며, 개인정보 처리 단계별 조치를 마련합니다.

 

출처 : 공정거래위원회

https://www.ftc.go.kr/www/cop/bbs/selectBoardArticle.do?key=201&nttId=82530&bbsId=BBSMSTR_000000002320&bbsTyCode=BBST01 

 

표준약관 - 공정거래위원회

건전한 거래질서를 확립하고 불공정한 내용의 약관이 통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마련한 것으로 일정한 거래분야에서 표준이 되는 약관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문의사

www.ftc.go.kr

 

개인정보 보호법과 PbD 그리고 표준 약관 등은 주니어급 서비스기획자에게는 버거운 업무임이 틀림없습니다. 회원가입 서비스기획을 보다 잘 설계하기 위해선 벤치마킹과 정확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자사의 서비스가 어떠한 유형의 서비스인지를 파악하고 비슷한 서비스의 경쟁 업체의 이용약관을 참고하는 것이 하나의 예입니다. 벤치마킹의 단계는 3가지로 나뉩니다.

 

1) 네이버 / 카카오 등의 빅테크 기업의 가이드라인 확인

2) 자사와 비슷한 서비스 이용약관 확인

3)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작성한 “개인정보 보호조치 적용 안내서” 필독

 

 

다음 글...

다음 글에선 실제 서비스의 회원가입 약관 및 기획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