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를 출간하기 앞서...
서비스기획 직무 변경을 위해 코드스테이츠 PMB 부트캠프, 사이드프로젝트, 역기획을 진행하면서 문득 든 생각이 있습니다. "나는 어떤 서비스를 만들고 싶어서 회사를 그만두고 새로운 도전을 시작한거지?" 입니다. 제일기획, 이노션 등 굴지의 고객사를 둔 BTL 종합 대행사를 퇴사하면서 가장 염원했던 것은 새로운 프로덕트를 만들어 보는 것이었습니다. 남의 것을 광고하고 운영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 매력적으로 보였습니다. 그 중 실체가 있는 프로덕트를 기획하고 판매하는 행위가 아닌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고 그 관계를 기반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에어비앤비, 야놀자와 같은 서비스에 매료되었습니다.
이 카테고리에서는 제가 매력적이라고 생각했던 플랫폼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플랫폼에 대해 학습하고 그 결과물을 공유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서비스를 직접 기획하진 않지만 플랫폼 서비스에서 공통적으로 보여지는 기획을 중점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플랫폼 유래_웹의 변화
플랫폼 비즈니스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선 웹의 변화에 주목해야합니다. 웹은 초기 군사목적으로 시작되어 여러 컴퓨터를 하나의 통신망 안에 연결시키는 것을 목표로 출시되었습니다. 이후 1991년 영국의 과학자인 팀 버너스리가 월드 와이드 웹을 공개하면서 웹 1.0의 시대가 열렸습니다. 웹 1.0은 어떠한 인터랙션도 없으며, 사용자는 오로지 '읽기'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는 정적인 웹 페이지였습니다. 즉, 소수의 의해 생산된 콘텐츠를 다수가 열람하는 단순한 구조였습니다.
WEB 1.0 - 단순한 읽기 기능
이때 등장한 것이 웹 2.0입니다. 웹 2.0은 아마존, 이베이와 같이 웹 1.0 시대에서 생존한 기업들의 공통점을 축출한 개념으로 핵심은 개방, 참여, 공유의 쌍방향 네트워크라는 점입니다. 플랫폼은 이러한 웹 2.0을 기반으로 개방, 참여, 공유라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산자는 자신의 상품을 고객에게 판매하기 위해, 고객은 생산자의 제품을 사기 위해 각각의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거나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으로 참여합니다.
WEB 2.0 - 개방, 참여, 공유의 특징으로 특정 주체가 소유한 서비스에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 읽기, 쓰기 기능
플랫폼 비즈니스란?
플랫폼 비즈니스는 사업자가 자신의 제품 혹은 상품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업자와 이를 필요로 하는 고객 및 사용자의 그룹을 연결시켜주는 모델을 말합니다. 주요 수익원은 고객과 사업자의 거래 시 발생하는 거래금에 대한 중개료입니다.
플랫폼 비즈니스 전략은?
플랫폼 비즈니스는 공급자와 수요자를 모두 유입해야합니다. 이 중 어떤 고객군을 먼저 모집할지 선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이는 "닭이 먼저냐, 계란이 먼저냐" 와 같이 어떤 타겟을 먼저 확보해야하는지 선정하기 까다롭습니다. 오픈테이블과 레드버스(인도 서비스)의 예시를 보면 공급자를 우선적으로 모객하고 그에 대한 추가 서비스 배포를 통해 수요자를 유입시킵니다. 이러한 전략은 플랫폼 비즈니스의 주요 전략 중 하나입니다.
- 오픈테이블 : 고객 예약 관리 프로그램을 식당 대상으로 선배포
- 레드버스 : 버스 운영자 대상으로 좌석 관리 시스템 제공
- 교육 플랫폼 : 강의를 관리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해 강사 유입
- 강사가 자신의 학생들을 플랫폼으로 유입시킴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851/ - 플랫폼 기업들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300/ - 플랫폼 비즈니스의 핵심개념과 가치
'도전 1. 서비스기획 > 플랫폼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비스기획 취준_플랫폼 이해하기] 2-1. 플랫폼 기획_회원가입 파헤치기 (0) | 2023.06.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