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회사 목표 및 전략
포스타입은 누구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창작 콘텐츠 플랫폼을 목표로 창작자 중심의 플랫폼을 구축했습니다. 창작자는 자유롭게 콘텐츠를 포스팅할 수 있으며, 유료/무료 콘텐츠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웹툰, 웹소설 뿐아니라 정보성 콘텐츠도 해당됩니다. 창작자는 유료 콘텐츠 판매, 정기 후원, 굿즈 판매 등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 배경 : 기존 플랫폼 시장의 한계로 창작자의 양극화 심화 및 불리한 조건으로 계약
- 비전 : 모든 창작자를 위한 콘텐츠 플랫폼
- 브랜드 슬로건 : 크리에이터를 가장 먼저 생각합니다.
- 목표 : 창작자가 영향력 있는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창작 생태계 개선 및 확장
- 창작자를 위한 주요 기능 : 콘텐츠 판매 · 후원, 정기 후원 멤버십 등
- 주요 업데이트 내용(5/18) : 카테고리 메인서비스 중단
- 특정 장르나 소재에만 국한해 콘텐츠 노출의 제약
- 개인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목표
➡️ 포스타입은 고객 입장이 아닌 창작자 중심의 플랫폼으로서 단면 우선 전략을 활용하는 기업임을 알 수 있다. 즉, 질 높은 콘텐츠를 기반으로 고객을 유입시키는 전략을 수립했다.(콘텐츠 창작자 > 고객)
➡️ 5/18일 업데이트 내용을 보았을 때, 기존에 신규 크리에이터의 불만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개인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목표로 업데이트를 실시했다. 하지만, 개인맞춤형일 경우 신규 크리에이터의 콘텐츠가 더 노출될 수 있을지 확인이 필요하다. 포스타입과 계약된 작가가 출금율이 높아서 UI를 바꾸었을 가능성도 있다.
2. 서비스 구조와 수익 구조
- 서비스 구조(링크)
콘텐츠 창작자 측면에서 보았을 때, 많은 권한이 위임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채널 개설 및 수익화 방안에 대해서 창작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 가격에 대한 결정권 또한 창작자에게 있습니다. 창작자는 채널 및 유료모델 설계 후 포스트를 발행합니다. 발행하는 포스팅 또한 결제구분선을 통해 유료화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또다른 유료모델을 설계합니다. 콘텐츠 소비자는 회원/비회원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료 콘텐츠의 경우 회원가입 및 콘텐츠 결제가 필수적입니다. 콘텐츠 열람 후 작가와의 1:1채팅 및 댓글 작성을 통해 타인과 상호관계를 구축할 수 있으며, 작가 후원이 가능합니다. 쿠팡과 같은 매커니즘으로 보았을 때, 콘텐츠 창작자는 물건을 게시한 판매자이며 콘텐츠 소비자는 물건을 구매하는 구매자와 동일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오픈형 콘텐츠 마켓 플레이스라는 서비스 구조를 구축했습니다.
- 콘텐츠 창작자 권한 : 콘텐츠 발행, 가격 설정, 유료모델 설계
- 콘텐츠 소비자 권한 : 콘텐츠 열람, 후기 작성 및 1:1 대화, 후원하기
- 서비스 구조 : 오픈형 콘텐츠 마켓 플레이스
➡️ 포스타입은 누구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콘텐츠 플랫폼을 지향한다. 이를 위해선 기존 플랫폼 중심의 계약 관계를 혁신해 창작자가 자신의 가치를 직접 메길 수 있는 오픈형 마켓 플레이스 구조를 접목시켰다. 이러한 서비스 구조는 창작자에게 자율성이 보장되지만 콘텐츠 소비자에게 좋지 않은 경험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 오픈형 마켓 플레이스인만큼 방대한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보여줄 UI가 필요하며, 콘텐츠 소비자의 사용성을 향상시켜야한다. 또한, AI를 통해 발행된 콘텐츠도 창작물로 인정하는지 여부에 대한 서비스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
2. 수익구조
포스타입의 수익구조는 3가지로 설계되었습니다. 첫째, 콘텐츠 소비자가 창작자의 콘텐츠를 구매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입니다. 이는 창작자가 출금을 요청 시 요청한 금액의 10%를 부과하게 됩니다. 둘째는 스토어 판매금에 대한 수수료입니다. 역시 동일하게 출금 요청시 부과되며 3%에 해당합니다. 마지막으로는 제휴로 발생하는 수익으로 예상됩니다. 포스타입은 다양한 기업과 업무적 제휴를 체결했습니다. 현재 지면 광고는 확인되지 않지만 콜라보레이션 이벤트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 콘텐츠 판매 수수료 10%
- 스토어 굿즈 판매 수수료 3%
- 제휴/광고 비용(추정)
➡️ 포스타입의 단면 우선 전략의 핵심인 콘텐츠 창작자 중심의 플랫폼이지만 소비자가 결제하지 않으면 포스타입의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다. 초기 전략은 단면 우선 전략으로 성장했으나, 소비자 친화적인 기능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 글에 이어서...
'도전 1. 서비스기획 > 중꺾마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비스 역기획] 포스타입은 어떤 서비스일까?(2) (0) | 2023.08.29 |
---|---|
[서비스기획 취준_UX/UI 케이스 스터디] 플로(FLO)는 어떻게 구매를 유도할까? (0) | 2023.06.17 |
[서비스기획 분석]하이버는 어떻게 구매 전환을 유도할까? (0) | 2023.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