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 1. 서비스기획/중꺾마 스터디

[서비스기획 취준_UX/UI 케이스 스터디] 플로(FLO)는 어떻게 구매를 유도할까?

유캔유캔 2023. 6. 17. 16:19

한줄 평

💡 전체적으로 최종 목표인 이용권구매를 위해 서비스가 설계되었으나,
      구독 모델에 대한 명확한 비교가 필요

 

 

플로 시장점유율과 그에 따른 전략

플로는 SK스퀘어의 자회사인 드림어스컴퍼니가 운영하는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입니다. 2022년 5월 국내 주요 음원앱 사용자수를 보았을 때, 플로는 약 218만 명이 이용하며, 전체 음악 서비스 앱 중 4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즉, 플로는 시장 내에서 언더독으로 멜론과 유튜브 뮤직 주도의 시장 내에 침투할 수 있는 구독 전략을 취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플로의 차별화 전략은 개인 취향에 맞는 콘텐츠 큐레이션, 오디오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플로는 출시부터 취향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목표했으며, 누구나 오디오 콘텐츠를 만들고 공유할 수 있는 오픈플랫폼으로 전환했습니다. 이를 통해 약 3천 800여 명의 크리에이터가 오디오 드라마, 자작곡, 리뷰 등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합니다.
 
 

플로의 구독 모델

플로의 구독모델은 3가지를 핵심으로 구분되며 이는 각각 스트리밍 횟수, 기기, 오프라인으로 분류됩니다. 멜론, 벅스 등은 무손실음원 스트리밍이 가장 비싼 구독 모델인 반면 플로는 기기, 횟수, 온/오프라인 청취로 구성된 것으로 보아 품질보다는 서비스 이용 접근성에 초점을 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300회 듣기 등 타 서비스 대비 세부화된 구독 모델을 통해서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플로의 구독 유도 전략

💡 가설 : 플로 크리에이터 스튜디오를 이용하기 위해 플로 서비스를 구독해야할 것이다.
 
플로의 차별화 전략은 쌍방향 오디오 플랫폼이라는 점입니다. 오디오 생산자를 지원하는 크리에이트 스튜디오는 콘텐츠 및 정산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크리에이터에게 사용성을 제공합니다. 저는 크리에이터 스튜디오를 이용하기 위해선 플로의 구독모델이 필수요건으로 작용한다는 가설을 세웠습니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①을 클릭해 크리에이터 스튜디오에 진입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해당 페이지는 크리에이터를 위한 스튜디오로 콘텐츠, 에피소드 그리고 정산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를 미루어보았을 때, 크리에이터는 자신의 콘텐츠에 대한 색인 및 검색어를 저장하고 발생일을 조절해 파일을 업로드하는 단순한 기능을 이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크리에이터 스튜디오와 구독 모델은 연관성이 없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하단 배너는 구독 유도를 위한 배너로 첫 구매 시 100원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프로모션을 노출합니다. 이는 플로의 직접적은 구독 유도 액션으로 이외의 사용성을 해칠만한 팝업은 없습니다.
 
음원을 플레이할 수 있는 바는 구독 유도를 위한 기획의 핵심입니다. 플로의 웹사이트는 개인의 취향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메인페이지 최상단에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합니다. 플레이리스트를 클릭하면 내부 음원이 공개되고 음원 클릭 시 하단 음원 플레이바를 통해 스트리밍이 진행됩니다. 미구독 고객의 경우 1분 미리듣기로 플레이가 되며, 완전한 스트리밍을 원할 경우 구독을 해야합니다. 또한, 스트리밍 시작 시 하단 배너는 1분 미리듣기 임을 공지하고 이용권 구매를 유도합니다.
 

 
③이 메인 기획이라 한 이유는 메인페이지 및 웹사이트의 구성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플로는 메인페이지 ~ 보관함까지 모두 음원 및 오디오 콘텐츠만이 노출됩니다. 이는 웹페이지에서 음원을 스트리밍하는 것에 포커스를 맞춘 기획이며, 구독을 하지 않고 제한된 시간만 음원 스트리밍이 가능한 것으로 보아 초기 기획부터 해당 페이지는 구독 유도를 목적으로 제작됨을 알 수 있습니다. 플로의 웹사이트에 진입한 고객이 할 수 있는 액션은 음원 및 오디오 콘텐츠를 탐색하고 스트리밍을 한 후 구독으로 이어지는 자연스러운 플로우로 설계되었습니다.
 

 

아쉬운 UX/UI

💡 구독모델이 세분화되어 있는만큼 모든 구독모델을 비교할 수 있었으면 좋았을텐데…

 
위의 이미지는 구독모델의 자세히 보기를 클릭했을 때 노출되는 팝업입니다. 해당 팝업은 무제한 듣기 + 오프라인 재생에 대한 구독모델로 구독모델의 혜택을 한눈에 보기 쉽게 표로 정리되어있습니다. 하지만 플로의 구독모델이 모두 비교되어 있는 장표는 찾아볼 수가 없었습니다. 물론 각각의 모델마다 주요 특성을 간략하게 기재했지만 모든 모델이 비교되어 있는 표가 있으면, 플로의 잠재고객들이 자신에게 맞는 모델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